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, 정치부 최수연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겠 습니다. 윤석열 대통령이 보이는데요. 윤 대통령의 최애 축구 선수. 누굽니까.<br> <br>네, 윤 대통령이 그제 국민의힘 지도부와 만찬을 했습니다. <br> <br>이 자리에서 가장 좋아하는 축구선수로 네덜란드의 '요한 크루이프' 선수를 꼽았습니다. <br> <br>요한 크루이프는 70년대 최고의 공격수로 선수와 감독 모두에서 성공을 거둔 인물인데요. <br> <br>특히 '공격 축구'의 대표 주자입니다. <br> <br>한 참석자에 따르면, 윤 대통령 "펠레처럼 잘하는 축구 선수들도 많지만 제일 좋아하는 선수는 요한 크루이프다"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. <br> <br>좋아하는 이유, '정면 돌파형' 공격 축구 스타일을 들었는데요. <br> <br>윤 대통령은 크루이프 선수를 설명하면서 "공격이 최고의 수비"라고 강조했습니다.<br><br>Q. 공격이 최고의 수비다, 윤 대통령의 국정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대목 같은데요. 요한 크루이프를 언급한 게 국정운영에서도 공격적으로 해라 이런 의미이겠지요? <br><br>네 참석한 국민의힘 의원들도 정치적 의미가 담긴 말로 들렸다고 합니다.<br><br>최근 화물연대 파업과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 등 각종 현안에서 '뒤에 숨지 말고 정면 돌파하자'는 메시지로 보입니다. <br> <br>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최근에 "진흙탕에 뛰어들어 저질 음모론을 막는 게 공직자의 품위다"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. <br> <br>또 다른 참석자는 "그게 바로 윤 대통령이 원하는 요한 크루이프의 정면 돌파 스타일이다" 이렇게 해설을 했습니다.<br><br>실제 윤 대통령, 만찬 말미에는 "당이 더 적극적으로 열심히 해달라"고 당부했습니다. <br> 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흔들리는 정치공동체. 이재명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얘기인가요. <br><br>네, 지난주 민주당에서는 '나는 이재명과 정치 공동체' 해시태그 운동을 벌이자, 이런 제안이 나왔습니다. <br> <br>[정청래 /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(지난 21일)] <br>" 검찰이 이 대표와 누구와 '정치 공동체'라 그러는데, 저도 이재명 대표와 정치 공동체다. 그리고 여기 있는 최고위원들, 국회의원들, 당원들 다 정치 공동체다."<br> <br>Q. 그런데 생각보다 당내 호응이 미미한 건가요. <br><br>네 강성지지층인 이른바 '개딸'들 사이에서만 해시태그 운동이 이어지는 모양새입니다. <br> <br>현재까지 정청래 최고위원을 빼고는 김남국 의원과 남영희 민주연구원 부원장 정도만 관련 글을 올렸습니다. <br> <br>1년 전 대선 과정에서 송영길 대표가 이 대표의 자서전을 읽는 '이재명 바로알기 캠페인'을 제안했는데요. <br> <br>당시 의원들이 경쟁적으로 참여하던 모습과는 다르다는 얘기가 나옵니다. <br> <br>Q. 친명계는 검찰의 이재명 대표 수사에 대항해 단일대오, 결사항전을 강조하고 있잖아요. 이에 대한 호응도 뜨겁지 않다면서요. <br><br>최근 비공개 의원총회에서 박찬대 최고위원이 반나치 운동가인 '마르틴 니뮐러'의 '나치가 그들을 덮쳤을 때'라는 시를 읊었는데, 호응이 좋지 않았다고 합니다. <br> <br>이런 내용인데요.<br><br>"나치가 공산주의자들을 덮쳤을 때 나는 침묵했다. 나는 공산주의자가 아니었기에” 박 최고위원 측 인사는 " 누구든 검찰의 표적이 될 수 있으니 '원팀'으로 사정 정국을 잘 헤쳐나가자는 게 낭송 취지"라고 설명했는데 일부 의원들은 되레 거부감을 느꼈다고 합니다.<br><br>(국민중심) 국민이 바라는 공동체는 특정인을 위한 정치공동체가 아니라 대한민국 국민이 중심인 공동체가 아닐까 싶습니다. <br> <br>Q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ichannela.com